본문 바로가기

고추 탄저병 방제시기 총정리 (예방법, 방제법, 친환경 대안)

narratir 2025. 5. 5.

고추 농사를 지으시는 분들이라면 탄저병이라는 단어만 들어도 머리가 아프실 겁니다. 고추 탄저병은 수확량을 최대 60%까지 감소시키는 무서운 병해로, 적절한 시기에 올바른 방법으로 방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 추천 정보

고추 탄저병은 열매가 맺히기 시작하는 6월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장마기를 지나 8~9월 고온다습한 조건에서 급속히 확산되는 병해입니다.

고추 탄저병 발생 시기와 특징

발생 시기 특징 피해 정도
6월 상·하순 초기 발생 시작 낮음
7월 장마기 빗물에 의한 전파 증가 중간
8~9월 고온다습 조건에서 급속 확산 매우 높음 (최대 60% 수확량 감소)
📢 추천 정보

고추 탄저병은 고추를 재배할 때 역병과 함께 가장 큰 피해를 주는 병해입니다. 탄저병균은 주로 빗물에 의해 전파되므로 여름철 잦은 강우와 태풍에 의해 많이 발생합니다. 감염 후 4일째부터, 늦게는 10일 후 외부에 병 증상이 나타나며, 탄저병에 의한 수량손실은 연평균 15~60%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탄저병 원인균 종류와 특성

탄저병은 여러 종류의 병원균에 의해 발생하며, 각각의 특성이 다릅니다.

  • C. acutaum: 다범성 병원균으로 과실에 수침상 겹무늬를 일으키며 병원성이 강함
  • C. cocodes: 주로 가지과 식물에 영향을 미치며 유묘에 지제부 잘록병을 일으킴
  • C. gloeosporioides: 다범성 병원균으로 과실과 지제부에 영향을 미침

탄저병 발생 조건은 무엇인가요?

탄저병은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발생하기 쉽습니다:

  • 고온다습한 환경 (특히 장마철)
  • 잦은 강우와 태풍
  • 비가 내린 후 고추 과실에 빗물이 직접 튀는 경우
  • 이전에 탄저병이 발생했던 토양
강우량과 탄저병 포자 비산 관계
조사 시기 강우량(mm) 비산포자 수/3.2cm² 맑은 날 포자 수
5월 24~29 48.5 17.6 1.8
6월 22~25 27.0 1.8 0.3
7월 24~26 20.5 17.4 0.6
8월 8~16 109.0 34.8 0.3
9월 6~10 32.5 189.7 0.3
📢 추천 정보

위 표에서 볼 수 있듯이, 강우량이 많을수록 탄저병 포자의 비산이 증가하며, 특히 8~9월에 포자 수가 급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고추 탄저병 예방 시기와 방법

예방 시기 예방 방법 효과
정식 전 흙지탄(테부코나졸) 입제 토양 혼합 토양 내 병원균 감소
6월 초~중순 예방 약제 살포 시작 초기 감염 차단
장마 전 비가림 시설 설치, 약제 살포 빗물에 의한 전파 방지
비 온 직후 등록약제 살포 2차 감염 예방
📢 추천 정보

고추 탄저병은 예방이 가장 중요합니다. 한번 발생하면 포기 전체가 말라 죽을 수 있어 수확이 거의 불가능해지기 때문입니다. 효과적인 예방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시기별로 적용해야 합니다.

정식 전 토양 관리

  • 밭갈이 전: 10a(300평) 기준 흙지탄(테부코나졸) 입제 3~5kg을 고르게 뿌립니다.
  • 완전히 부숙된 퇴비를 사용하여 토양 환경을 개선합니다.
  • 이전 작물의 잔재물을 완전히 제거합니다.

6월 초~중순 예방 관리

  • 열매가 맺히기 시작하는 6월부터 예방 약제 살포를 시작합니다.
  • 작용기작이 서로 다른 살균제를 번갈아 사용하여 내성 발생을 방지합니다.
  • 지주대를 세우고 식물체를 유인 줄로 잡아 매어 쓰러짐을 방지합니다.
비가림 재배의 효과

비가림 시설에서 재배하면 빗물이 직접 과실에 튀는 것을 막아주어 탄저병 방제에 매우 효과적입니다. 비가림 재배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습니다:

  • 빗물에 의한 탄저병균 전파 차단
  • 고온다습한 환경 조절 가능
  • 약제 사용량 감소

2. 고추 탄저병 발생 후 방제 방법

화학적 방제 방법

탄저병이 발생한 후에는 신속한 대응이 필요합니다. 화학적 방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감염된 과실을 즉시 제거하고 폐기합니다.
  • 등록약제를 안전사용지침에 따라 7~10일 간격으로 살포합니다.
  • 테부코나졸 계열 약제는 탄저병에 효과적입니다.
  • 작용기작이 다른 약제를 번갈아 사용하여 내성 발생을 방지합니다.

친환경 방제 방법

화학 농약 대신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탄저병을 방제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방선균을 이용한 방제

최근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에서는 우리나라 토양에서 발견한 미생물 방선균을 이용한 탄저병 방제 방법을 개발했습니다:

  • 방선균 배양액을 500배로 희석하여 하루 1회씩 3일간 고추에 분무
  • 화학농약인 테부코나졸과 비슷한 98% 수준의 예방 효과 확인
  • 탄저병이 발병한 고추에 1회 분무 처리만으로 95%의 확산 억제 효과

식초를 이용한 친환경 방제법

재료 비율 사용법
사과식초(6~7%) 물 20L당 140ml 비 오기 전후 살포
매실효소 물 20L당 20ml 전착제 역할
쌀뜨물+오줌 발효액 물 20L당 40~100cc 비가 그칠 때마다 살포
📢 추천 정보

식초를 이용한 친환경 방제법은 다음과 같이 적용할 수 있습니다:

  • 사과식초와 매실효소를 물에 희석하여 고추에 살포합니다.
  • 쌀뜨물과 오줌을 1:1로 섞어 발효시킨 용액을 물에 희석하여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 비가 오기 전과 비가 그친 후에 고추 잎 뒷면까지 충분히 살포합니다.
  • 정량을 지켜 사용하면 고추에 약해가 없습니다.

3. 고추 탄저병 예방을 위한 종합 관리 전략

관리 요소 관리 방법 효과
재배 환경 비가림 시설, 통풍 개선 병원균 전파 차단
영양 관리 적절한 비료 공급 식물 면역력 강화
토양 관리 윤작, 토양 소독 토양 내 병원균 감소
수확 후 관리 잔재물 제거, 토양 처리 다음 해 감염 예방

고추 탄저병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기 위해서는 종합적인 관리 전략이 필요합니다.

재배 환경 관리

  • 비가림 시설을 설치하여 빗물에 의한 전파를 차단합니다.
  • 고추 포기 간격을 적절히 유지하여 통풍을 개선합니다.
  • 물 빠짐이 좋은 토양 환경을 조성합니다.

영양 관리의 중요성

고추는 수확할 때까지 많은 비료를 필요로 합니다. 적절한 영양 관리는 식물의 면역력을 강화하여 탄저병 저항성을 높입니다:

  • 1차 웃거름: 아주심기 25~30일 후 고추 포기사이에 구멍을 뚫어 비료를 줍니다.
  • 2차 웃거름부터: 비료를 두둑과 고랑 사이의 경사면(헛골)에 뿌립니다.
  • 정식 이후 웃거름은 생육 상황과 표준시비량에 맞춰 3~4회 정도 줍니다.
수확 후 관리

수확이 끝난 후에도 다음 해 탄저병 예방을 위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 겨울이 오기 전에 고춧대와 멀칭을 제거합니다.
  • 친환경 발효액을 토양에 뿌려 토양 내 탄저균을 제거합니다.
  • 윤작을 통해 토양 내 병원균 축적을 방지합니다.

고추 탄저병 관련 자주 묻는 질문 (FAQ)

고추 탄저병의 초기 증상은 어떻게 알 수 있나요?

고추 탄저병의 초기 증상은 과실에 작은 수침상의 반점이 생기고, 점차 확대되어 검은색 겹무늬 형태로 나타납니다. 감염 후 4일째부터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며, 늦게는 10일 후에 외부에 병 증상이 나타납니다.

탄저병과 역병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탄저병은 주로 과실에 발생하여 검은 반점이 생기고 과실이 썩는 증상을 보이는 반면, 역병은 주로 뿌리와 줄기를 공격하여 포기 전체가 말라 죽게 만듭니다. 두 병해 모두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발생하지만, 방제 방법에 차이가 있습니다.

친환경 농법으로 탄저병을 100% 예방할 수 있나요?

100% 예방은 어렵지만, 비가림 재배와 함께 친환경 방제법을 적절히 활용하면 탄저병 발생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식초 살포, 방선균 활용, 토양 관리 등의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탄저병에 가장 효과적인 약제는 무엇인가요?

테부코나졸 계열 약제가 탄저병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내성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작용기작이 다른 여러 약제를 번갈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최근에는 방선균을 이용한 친환경 방제법도 화학농약과 비슷한 98% 수준의 방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고추 탄저병 방제, 이것만 기억하세요!

고추 탄저병은 예방이 최선의 방법입니다. 6월부터 시작하여 장마철에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비가 오기 전후로 적절한 방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화학적 방제와 친환경적 방제 방법을 상황에 맞게 활용하고, 재배 환경과 영양 관리를 통해 고추의 면역력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최근 개발된 방선균을 이용한 친환경 방제법은 화학농약과 비슷한 효과를 보이면서도 환경에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식초를 이용한 방제법도 적은 비용으로 탄저병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고추 농사의 성패를 좌우하는 탄저병, 올바른 시기에 적절한 방법으로 관리하여 풍성한 수확을 이루시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