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 농기계 대리점 구매 전 꼭 알아야 할 5가지 (+홈페이지 정보 포함)

달력 위에 농사 적기 2025. 5. 8.

농기계 한 대 가격, 최소 1천만 원. 그런데 보조금만 잘 챙겨도 30%는 깎을 수 있습니다. 이 글 하나로, 어디서 사야 할지, 언제 사야 싸게 사는지, 그리고 어떤 실수는 절대 하면 안 되는지 알려드립니다.

한국 농기계 대리점은 지역마다 편차가 크고, 브랜드마다 조건이 다릅니다. 지금 바로 확인하세요.

요약 정리: 농기계 대리점 & 공식 홈페이지 정보

브랜드 홈페이지 보조금 가능 여부 유형
대동 (KIOTI) kioti.com O (지자체 연계) 대리점 중심
LS엠트론 lsmtron.co.kr O (지역 차등) 직영 + 대리점
TYM tym.world O (조건부 가능) 온라인 견적 지원

1. 대리점 가기 전에 “홈페이지 비교”는 필수

왜 홈페이지를 먼저 봐야 하나요?

  • 보조금 신청 여부, 제출 서류, 대상 기종이 다릅니다.
  • 홈페이지에서 미리 견적을 낼 수 있는 브랜드도 있습니다.

실전 팁

홈페이지에서 “고객센터 > 보조금 지원” 항목 있는 브랜드는 대부분 행정 협조를 잘 해줍니다.

2. 대리점마다 가격 차이, 생각보다 큽니다

동일 모델인데 왜 가격이 다르죠?

  • 공식가는 있지만, 실제로는 “현장 견적” 중심
  • 구형 재고 처분 + 중고 리퍼 = 최대 25% 할인 가능

비교 체크리스트

항목 체크
기체 제작 연도 2023 이상 권장
보증기간 1년 이상
운반비 포함 여부 꼭 명시

3. 중고 농기계, 함부로 사지 마세요

중고 제품 사기 전 체크포인트

  • 출고 연도 / 기체 마모 상태
  • 보증 여부 (보통 없음)
  • 부품 수급 가능성 (오래된 모델은 단종 부품 多)

후기에서 자주 나오는 문제점

“중고로 싸게 샀는데 정비비가 새 제품 가격만큼 나옴”

4. 정부 보조금, 이렇게 받습니다

누가, 어떻게 받나요?

  • 귀농귀촌인, 영농후계자, 청년농업인 등 대상
  • 시군청 농업기술센터 통해 신청
  • 보조율: 30~60%, 기종·소득·지자체에 따라 다름

절차 요약

  1. 신청서 작성
  2. 견적서 첨부
  3. 심사 및 승인 후 구입 진행

5. 숨겨진 비용, 반드시 체크할 것

대리점에서 숨기는 추가 비용은?

  • 운반비 / 설치비 / 등록비 별도 청구
  • AS 출동비, 출장 수리비용
  • 유지관리 부품 패키지 (강매 유사)

비용 분리 요청서 예시 (다운로드 콘텐츠)

농기계 견적비교 PDF 다운로드

개인적인 조언: 대리점 vs 온라인 구매

대리점은 협상 여지가 있지만, 온라인은 정보 접근성이 뛰어납니다. 단, 온라인은 사후처리 불만족이 많습니다. “견적은 온라인, 구매는 대리점” 전략이 가장 무난합니다.

FAQ

농기계 보조금은 어디서 신청하나요?

시군 농업기술센터 또는 지역농협을 통해 연중 상시 접수 가능합니다.

대리점에서 카드 결제 가능한가요?

대부분 가능하지만, 일부는 현금 결제 시 추가 할인 제공

AS는 브랜드마다 다르나요?

맞습니다. 대동과 LS는 전국 출장망이 잘 되어있고, TYM은 대리점 중심입니다.

정리하며

농기계 구매는 단순 소비가 아니라 “투자”입니다. 홈페이지만 봐서는 안 보이는 현장 정보, 지원 조건, 실제 구매 후기까지 체크해야 후회 없는 선택이 됩니다.

댓글